전체 글 82

식사는 하루에 몇번이 적당할까

하루에 꼭 세 끼를 먹어야 할까? 하루에 세 끼를 먹어야 한다는 생각은 놀랄 만큼 현대에 정립됐다. 그렇다면 하루 몇 끼가 가장 건강에 좋을지 살펴본다. 삼시 세 끼. 현대인의 생활은 하루 세 번의 식사를 중심으로 설계돼있다. 아침 식사가 가장 중요하단 소리를 들으며 출근하고, 직장에선 점심을 먹을 수 있도록 휴식 시간을 받는다. 그리고 친구, 동료, 가족들과 둘러앉아 저녁을 먹는다. 그러나 하루 세 끼는 과연 가장 건강한 식사 습관일까? 하루에 얼마나 자주 먹어야 하는지 생각하기 전에 우선 언제 먹지 말아야 하는지 생각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실제로 간헐적 단식, 즉 8시간 간격을 두고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는 이론은 점차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19년 논문 '먹어야 할 때'의 저자이..

Health & Life 2024.03.24

0% 제로(ZERO)칼로리 마음껏 먹어도 될까

제로칼로리 마음껏 먹어도 될까 최근 미국의 한 연구 기관에서 '제로 칼로리' 식품에 사용되는 인공 감미료인 에리스리톨(erithritol)이 심장 관련 질환 위험도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를 두고 소비자들 사이에서 제로 칼로리 식품 안전성을 두고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러너 연구소가 지난달 27일 공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에리스리톨의 높은 혈중 수치는 심장마비나 뇌졸중의 위험을 높이는 데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해당 연구 결과를 두고 일부 소비자들은 제로 칼로리 식품들의 안전성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며, 가급적 소비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반응이다. 하지만 일부는 제로 칼로리 식품 자체의 위험성보다 소비자들 개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를 것이..

Health & Life 2024.03.23

매일 피곤한 당신, '번아웃'이 아닐 수도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많은 사람들을 벼랑 끝으로 내몰았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은 우리가 비록 코로나19와의 싸움에 지쳤고, 그 영향을 감당하기 힘들었더라도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번아웃 상태는 아닐 수 있다고 말한다. 종종 나는 나 자신, 친구들 그리고 동료들에게 번아웃을 겪고 있다고 말한다. 프리랜서로 먹고 산다는 것은 장시간의 노동과 멀티태스킹을 주로 의미한다. 나는 일년에 몇 번 '창의적인 벽' 같은 곳에 부딪히는 느낌이 든다. 좋은 아이디어는 동이 났고 단지 낮잠이 너무 필요하다는 느낌. 나는 그것을 번아웃이라고 오랫동안 불러 왔다. 하지만 그건 틀린 말이었다. 우리는 번아웃을 무형의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즉 번아웃은 우리가 정의할 수 없는 것 중 하나고, 우리가 느..

일하다가 내가 죽을 수도 있는 이유

일하다가 내가 죽을 수도 있다 현대 사회에서 직장인들이 받는 스트레스는 위험한 수준일 수 있다. 를 쓴 제프리 페퍼는 이 현실은 회사에 전혀 도움이 안 되며 정부는 점점 커져만 가는 공중 보건 문제를 외면한다고 지적한다. 2016년 스마트폰기반 택시서비스 회사 우버에서 근무하며 억대 연봉을 받던 소프트웨어 기술자가 자살했고, 가족은 직장 스트레스를 이유로 꼽았다. 세계 최대의 증권 회사 메릴린치에서 근무하던 런던의 21세 인턴은 72시간 동안 한숨도 안자고 근무한 뒤 쓰러져 죽었다. 철강생산업체 아르셀로미탈이 인수한 제강소를 폐쇄하자 한 56세 직원은 3주 뒤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가족들은 그가 충격을 이기지 못했다고 한다. 유럽산업안전보건청의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발생하는 5천만 일의 결근일 중 절반 ..

더이상 '참을성'이 통용되지 않는 변화하는 일본사회

더이상 '참을성'이 통용되지 않는 변화하는 일본사회 도쿄의 평일은 보통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지하철로 시작한다. 이곳에선 매일 약 2000만 명의 사람들이 전철을 탄다. 여기저기 움직이는 바쁜 사람들 사이로 전철을 타기는 쉽지 않다. 열차가 들어오면 기다리던 사람들은 타고 있던 승객의 하차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모두 문 옆으로 삼엄한 대형을 이룬다. 이후 모든 승객이 내리면 서둘러 전철에 올라탄다. 발 디딜 틈 없는 전철 안에서 승객들은 거의 움직일 수 없다. 발이 때때로 땅에 닿지 않을 때도 있다. 이토록 사람들로 가득 찬 전철이지만, 침묵이 가득하다. 차분하고 질서 있는 행동은 일본인들의 특징이기도 하다. 해외에서 온 방문객들은 종종 일본인들의 대중교통 질서 그리고 충격적인 후쿠시마 지진과 쓰나미 이..

Health & Life 2024.03.20

실리콘밸리의 디지털 트렌드

실리콘밸리의 디지털 트렌드 코로나19 팬데믹 영향,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디지털 산업 생태계에도 투자 및시장수요가 감소되는 큰 변화의 시기를 넘었고, 혁신의 진원지인 실리콘밸리의 디지털 트렌드를 쫓을 필요가 있다. 스타트업 대표, 디지털 분야 투자자, 컨설턴트 등의 인터뷰를 살펴보고 실리콘밸리 현지 디지털 창업 환경 및최근 경기침체기에 대응하는 디지털 산업 투자 방향 분석에도 활용할수 있을 것이다. 현재, 디지털 산업 분야에서는 새로운 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기대감 향상뿐만 아니라 경기침체로 인해 기업의 옥석 가리기가 시작됐고, AI 분야는 점점 더 대형화되는 추세에 맞춰 초거대 AI 서비스 확보를 위한 노력 중이다.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의 진화 실리콘밸리에서 약 10년간..

북악산(백악산-청운대) 둘레길 트래킹

첫 장거리 트래킹처음 시작은 설레임 가득, 광화문을 거쳐 청와대 뒤편 춘추관쪽 도심쪽에서부터 천천히 걸어서 시작했다. 삼청동 안내소 이정표를 찾아서 두리번 거리며 천천히 길을 따라 걸었다.이정표를 마주하고, 맞은편쪽 오늘의 코스를 습득하며 만세동방과 청운대쉼터쪽임을 직감하며 움직이기 시작했다. 길은 사람이 걸어가고자 만든게 분명한데, 데크길로 정리가 되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평소에 오가는 코스란걸 실감했다.<..

여행과 식도락 2024.03.18

밀가루 대신 콩가루로 건강 챙기기

밀가루 대신 콩가루로 건강 챙기기 서구식 식습관 중 건강에 해로운 점 하나는 식단에 섬유질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섬유질이 풍부한 식단을 먹으면, 심장 질환 및 조기 사망 위험이 줄어드는 등 여러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과일, 채소, 두류(대두, 팥, 녹두, 땅콩 등 완숙돼 건조 상태로 수확하는 모든 콩을 아우르는 명칭), 통곡물 등 자연식품으로 섬유질 섭취를 늘리려면, 좋아하는 음식을 어느 정도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새 파스타와 칩, 아침 식사용 시리얼, 시리얼 바 등 일반적으로 섬유질이 적었던 식품군에서도 고섬유질 대체재가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체 식품이 정말 기존 식품보다 낫다고 볼 수 있을까? 많은 사람들은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기 때문..

Health & Life 2024.03.17

딥페이크(Deepfake) 설명과 악용사례에 대하여

딥페이크(Deepfake) 란 딥페이크(Deepfake)는 딥러닝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진, 동영상, 비트 등의 매체 등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실과 다른 차원의 결과물을 합성시켜 새로운 창작물로 생성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 기술은 주로 얼굴을 스와핑하고, 음성 합성, 그래픽 및 가상 기술을 사용하여 사람들을 다른 인물로 변경하거나 내용을 가공하는데 활용 됩니다. 이로 인한 범죄에 악용되는 사례도 최근에 발생하는데, 올해초 대만에서 음란물에 일반인을 합성시켜 심각한 사회문제로 거론되었고, 이후 해당 제작물을 만든 범죄자를 검거함에 따라 그에 따른 사회적 엄중한 심판이 내려지기도 했습니다. 딥페이크를 통해 악용될수 있는 범죄유형 딥페이크 기술을 사용하여 쇼셜커뮤니티에 생성된 가짜 동영상이나..

IT & Technology 2024.03.16

인공지능에 대한 글로벌 특허 경쟁

인공지능, AI기술의 현재 최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산업에서의 전략적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22년 특허청이 제57회 발명의 날을 맞아 국민투표를 통해 뽑은 대한민국 내일을 바꿀 발명 기술 1위로 인공지능 기술이 선정될 정도로 관련 기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기대도 매우 큰 상황이다. 그러나, IBM의 22년 분석에 따르면 최근까지도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률은 세계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우리 사회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이해나 적극적 활용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의 상업적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세계 각국의 인공지능 특허를 둘러싼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지고 ..

IT & Technology 2024.03.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