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2

달콤 쌉살한 다크초콜릿, 많이 먹어도 건강에 괜찮을까

달콤 쌉쌀한 다크초콜릿 많이 먹어도 건강에 괜찮을까 우리는 오랫동안 초콜릿을 건강에 좋지 않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놀랍게도다크 초콜릿은 건강에 좋을 수도 있다. 인간은 수백 년 동안 어떤 형태로든 초콜릿을 섭취했으며, 주로 카카오 열매로 만든 음료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다 일부 문화권에서 카카오에 설탕, 우유 등을 추가하고 반짝이는 포장으로 치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여전히 전통적인 방식으로 카카오를 섭취하는 사람들은 초콜릿이 과연 건강에 좋은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북아메리카 최남단 파나마의 산블라스 제도에 사는 쿠나 원주민은 나이가 들어도 고혈압, 심장마비, 당뇨, 암 등의 발병 확률이 낮아 상대적으로 수명이 길다고미국암학회(ACS)의 마지 맥컬로프 선임연구원은 밝혔다. 고염 식단이 고혈압을..

Health & Life 2024.03.14

꿀은 건강에 정말 좋을까

꿀은 정말 건강에 좋을까 꿀이란? 꿀은 꿀벌이 꽃에서 넥타르를 모아 만든 금빛 시럽이다. 꿀벌들은 겨울철에 대비해 꿀을 벌집 형태로 벌통에 저장해 둔다. 고대 그리스에선 꿀을 ‘신들의 음식’이라 표현했으며, 중국에선 약으로 분류된다. 꿀의 영양 성분은 가공되지 않은 꿀은 아미노산, 항산화제, 비타민, 미네랄, 당분으로 구성돼 있다. 과당 함량이 높아 설탕보다 단맛이 강하지만, 당질을 함유한 식품을 수치화한 혈당지수(GI)는 중간 정도이다. GI는 특정 식품을 단독으로 섭취했을 시 체내 혈당(포도당) 수치에 얼마나 빠르게 영향을 미치는지 수치화한 기준이다. 꿀 1큰술(20g)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58킬로칼로리(kcal) 혹은 246킬로줄(KJ), 탄수화물 15.3g, 당질 15.4g, 단백질 0.1g,..

Health & Life 2024.03.13

뉴로모픽 컴퓨팅 기반의 초저전력 거대 언어모델 AI반도체

뉴로모픽 컴퓨팅 기반의 초저전력 ‘상보형-트랜스포머’ KAIST, 뉴로모픽 컴퓨팅 기반의 초저전력 거대 언어 모델 인공지능반도체 핵심기술 ‘상보형-트랜스포머’ 개발했다고 몇일전 기사를 통해 접했다. 삼성 28나노공정을 활용하여 GPT-2 거대 언어 모델을 400mW전력 소모로 성공적 구동하는 시물레이션을 통해 시연하였고, 이런 수치의 결과는 GPU(엔비디아 A100) 대비 소모전력은 625배, 칩 면적 41배 작은 인공지능 반도체 핵심기술 개발에 가장 큰 성과라고 알려졌다. 온디바이스 AI의 핵심인 초저전력·고성능 인공지능반도체를 뉴로모픽 컴퓨팅으로 구현한 것이 가장 큰 핵심이며, 400밀리와트 초저전력을 소모하면서 0.4초 초고속으로 거대 언어 모델을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반도체인 ‘상보형-트랜스포..

IT & Technology 2024.03.12

새로운 디바이스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차(EV)

스마트폰 이후 새로운 디지털 디바이스로 점차 부상하고 있는 전기차 스마트폰 이후 이를 뛰어넘는 새로운 디바이스가 부상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전기차가 자동차, 운송수단 이라는 인식에서 추가해 주목해야 할 디지털 디바이스로 부상하고 있다. 미 바이든 대통령은 2021년 8월 전기차 비중 확대를 위해 2030년까지 미국에서 새로 판매되는 승용차의 50%를 친환경 차(전기차 & 하이브리드차)가 차지하도록 행정명령 발표하였다. 실제로 미국내 소비자들의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상태로 미국 전기차 판매량은 지난 5년간 꾸준히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며 2021년에는 전년 대비 약 86% 급증하였고 전기차는 배터리, 모터와 같은 기계적인 요소의 중요성과 더불어 원활한 운영 소프트웨어(OS)를 비롯해 자율 주행수준,..

IT & Technology 2024.03.11

채식(비건) 주의로 살면 더 건강해지는 것일까

채식주의로 살면 더 건강해질까 최근 몇 년 동안, 건강, 동물 복지, 환경에 대한 우려로 채식주의자인 비건(Vegan)을 향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비건은 채식주의자 중에서도 가장 엄격한 단계의 채식을 하는 사람들로 육류, 생선은 물론 유제품, 달걀, 꿀, 젤라틴도 섭취하지 않는 '완전 채식주의자'다. 영국의 경우 4년 전 대비, 비건의 수가 4배나 넘게 증가했다. 비건으로 식생활을 바꾸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건강상 이점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봤다. 가일스 여 박사는 한 달 동안 비건 식생활에 도전해보고, 받아들일 수 있는 생활방식인지 알아보기로 했다. 그는 많은 제품이 겉보기에는 동물과 관련이 없어 보이는 점이 혼란스러웠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달걀, 치즈, 계란은 명백하게 동물에서 나온 것이지..

Health & Life 2024.03.10

헬스케어(health care) 데이터 각국의 활용 사례

헬스케어(health care) 데이터 각국의 활용 사례 헬스케어(health care) 란, 넓은 의미로는 질병의 치료, 예방, 건강 관리 과정을 모두 포함한 것을 말합니다. 좁은 의미로는 원격 진료나 건강 상담을 말하는 것이지요. 헬스 케어와 IT 기술이 합쳐지면 많은 사람들이 더 자유롭게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 서비스와 유비쿼터스1) IT기술을 활용하면 u-헬스 케어라 불리는, 언제 어디서나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원격 의료 서비스가 생겨나는 것이지요. IT 기술을 이용하여 집과 병원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 진료를 받기 어려운 지역에 영상 통화를 통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기기를 갖춘 보건소를 만들면 전국의 병원과 실시간으로 질병과 건강에 관한 상담을 받을 수 있..

IT & Technology 2024.03.09

3월8일은 세계 여성의 날

세계 여성의 날은 왜 3월 8일일까 3월 8일은 '세계 여성의 날'이다. 그런데 '세계 여성의 날'은 정확히 어떤 날이며, 언제일까? '세계 남성의 날'도 있을까? 이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한 세기가 넘도록 전 세계 사람들은 3월 8일을 여성들을 위한 특별한 날로 삼아 기념해 왔다. 그 이유를 살펴봤다. 어떻게 시작됐나 줄여서 'IWD'라고도 하는 '세계 여성의 날'은 노동권 운동에서 시작해 오늘날 유엔(UN)이 인정하는 연례 기념일이 됐다. 그 기원은 1908년 미국 뉴욕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여성 1만5000명은 거리로 나와 노동 간 단축, 임금 인상, 투표권 보장 등을 외쳤다. 그리고 1년 뒤, 미국 사회당은 최초의 전국 '여성의 날'을 선언했다. 이후 여성의 날을 국제 기념일로 ..

Today issue 2024.03.08

전기차 필수재, 금양 이차전지 4695 원통형배터리 개발

전기차의 필수재, 원통형배터리 이차전지 4695 개발 성공 (주)금양에서 미래 이차전지 산업의 흐름을 예견하고, 국내기업으로는 드물게 광산개발을 통한 핵심 원료의 안정적인 확보와 소재의 정제생산에서 배터리 제조까지 수직계열화한 배터리제조 밸류체인을 완성한 (주)금양이 4일 꿈의 이차전지라 할수 있는 '4695 배터리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금양은 6일부터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인터배터리 2024 전시회 현장에서 '4695 배터리'의 실물을 공개하고 시연을 통해 기술력을 증명할 계획이다. 금양이 개발에 성공 '4695' 배터리는 개발단계에서부터 4가지의 선명한 성능 개발 목표를 설정했고, 오랜 시간 연구개발의 Pilot 개발공정에서 이를 모두 해결했다고 밝혔다. 그 4가지 개발 목표는 에너지 밀도..

대한민국 KAIST 연구진, ‘엔비디아 625배 효율’ AI 반도체 개발

KAIST 유회준 교수 연구팀, 뇌 모사 첨단기술로 초저전력 구현 국내 연구진이 초저전력으로 거대 언어모델을 0.4초만에 처리 가능한 인공지능(AI) 반도체 핵심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현존 최고의 엔비디아 GPU A100 대비 소모전력은 625배, 칩 면적은 41배 작게 만들어 효율을 극대화시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회준 KAIST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400㎽(밀리와트)의 초저전력을 소모하면서 0.4초 초고속으로 거대 언어 모델을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반도체인 ‘상보형-트랜스포머’를 삼성 28나노 공정을 통해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다량의 GPU와 250와트의 전력소모를 통해 구동되는 GPT 등 거대 언어 모델(LLM)을 4.5㎜x4.5㎜의 작은 한 개..

IT & Technology 2024.03.07

국내·외 빅데이터 서비스 사례 살펴보기

오늘은 십여 년전부터 이슈가 되고 있고 전 산업계에 퍼져 활용되고 있는 빅데이터 분야에 대해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빅데이터는 정보를 수집하여 가공 후 일정한 규칙된 자료화를 시킨 결과물의 집합이라고 이해를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런 자료들이 수십만개에 걸쳐서 상호 트리거 형태로 나열되어 연계되고 학습되어 하나의 데이터 뭉치로 구동하게 되는데, 이것을 흔히들 빅데이터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빅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자료화된 정보들이 잘 취합되어야 하고, 규칙성을 가진 자료들이 누적되어 데이터화 됨으로써 각 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 주변의 각각의 파편화된 정보들이 모여서 자료가 된 후에 이를 활용하는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국내 지자체 빅데이터 서비스 ..

IT & Technology 2024.03.0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