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9

AI 공공서비스 활용 해외사례 (이탈리아)

일반행정분야 신속한 민원 처리를 위한 이메일 분류시스템 이탈리아 사회보장국 공무원은 매년 400만 개 이상의 시민이 보낸 민원 이메일을 직접 분류하고, 민원 처리 담당 부처 및 기관으로 발송하는 업무를 하고 있다. 현재 이탈리아 사회보장국은 전국 450개 지역 기관에서 연간 400만 개 이상의 이메일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자동 분류 시스템 없이 소속 공무원들이 직접 처리하는 구조였다. 코로나19 이후, 민원 메일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공무원들의 과중한 업무 부담과 민원 대응 시간이 지연되는 등 행정의 비효율 심각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사회보장국은 방대한 양의 이메일 내용 및 맥락 분석을 자동화하여보다 신속하게 시민의 요구에 응답할 수 있도록 액센츄어(Accenture)사와 공동으로 ’AI 기반 이메..

IT & Technology 2024.04.10

AI 공공서비스 활용 해외사례 (중국)

일반행정 사법분야 전 과정에 AI 적용 중국은 전세계 AI 분야에 선두국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있게 성장중에 있으며, 이제는 여러분야에서 리더그룹에 포함되어 AI 분야를 선도해 나가고 있다. 중국의 여러 분야중 일반 행정분야에서 활용한 사례를 살펴보자. 중국의 일반 행정분야에서 사법 공무원의 공정성, 투명성, 사법 효율성을 제고하고 법관의 과도한 재판업무 경감을 위한 새로운 해결방안으로 AI를 적극 도입하였다. AI판사라는 용어가 있는데, 이는 중국의 판사들은 참고용 판례를 자동 검색하고 법과 규정을 추천하며, 법적 문서의 초안을 작성하고 평결에서 인적 오류 발견 시 변경해 주는 '스마트법원 시스템'을 활용 중에 있다. 이는 최고인민법원의 요구에 따라 모든 사건에 대해 AI 상..

IT & Technology 2024.04.01

AI 공공서비스 활용 해외사례 (싱가포르)

산업고용분야 개인 맞춤형 채용 정보 플랫폼 싱가포르 정부는 기술변화와 디지털 전환속도, 지속적인 산업 혁신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고 노동자에 대한 기술향상 및 재교육, 새로운 직업 탐색 기회 제공의 필용성도 느끼고 있었다. 싱가포르 정부는 거주자를 대상으로 싱가포르 노동시장에 고도로 맞춤화된 구직 플랫폼을 개발하는데 MyCareersFuture 플랫폼을 운영하게 되었다. 해당 플랫폼에서는 싱가포르 시장에 최적화된 JumpStart 모델을 구축하여, 스킬매칭, 노동시장 선호도, 재직자 재교육 과정 추천 등을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실시간 노동시장 정보 및 구직자 정보를 바탕으로 구직자와 잠재적 고용주의 간에 잘못된 매칭이나 누락된 매칭이 감소하였고 추천 범위를 확장하여 유사직업군이..

IT & Technology 2024.03.29

AI 공공서비스 활용 해외사례 (영국)

교육육아분야 온라인 학습지원 서비스 벌써 과거 시간대의 이야기가 되긴 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학교 폐쇄나 사회적 행동범위의 축소는 전세계적으로 경험했던 뼈아픈 시간이었다. 영국도 예외가 아니었는데, 당시 취약계층 학생들의 학습 공백이 발생하고 학습격차가 심화되었다. 이에 따라 영국 교육부는 정부 보조금을 받는 영국 전역의 초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1:1 온라인 튜터링 서비스를 제공했다. 물론 영국의 사례만 현재 소개하지만, 당시 우리나라나 전 세계적으로도 튜터링 서비스가 도입되었고 확대되었다. 잠깐 영국사례 중심으로 다시 설명하자면 인간 튜터가 강의를 진행하는 동안 AI 튜터가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분석결과를 알려줬다. AI 튜터는 약 10만시간 이상의 온라인 수업 데이터를..

IT & Technology 2024.03.28

인공지능(AI) 공공서비스 확대 현주소

인공지능(AI)의 공공성 참여 요즘은 인공지능의 공공성 참여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미국, EU 등 해외 주요국을 중심으로 '챗봇'부터 '의료분석 시스템'까지 일반행정, 의료 등의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공공서비스는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주요국은 초기에 반복적 행정업무 및 민원상담 서비스, 정보제공이나 통계분석 업무 등에 AI를 보조적 행정수단으로 활용하였으나 이제는 방대한 업무처리 경험을 바탕으로 AI를 활용한 정책이나 의사결정에 까지도 반영하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 각국에서 의료, 안전, 복지 등의 분야에 예측 및 추적, 결과 시물레이션 등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한 공공 행정서비스도 도입하였거나 도입중이 곳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AI를 활용한 펫관련 산업군이나 노인의료 분석시스템..

IT & Technology 2024.03.26

인공지능에 대한 글로벌 특허 경쟁

인공지능, AI기술의 현재 최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산업에서의 전략적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22년 특허청이 제57회 발명의 날을 맞아 국민투표를 통해 뽑은 대한민국 내일을 바꿀 발명 기술 1위로 인공지능 기술이 선정될 정도로 관련 기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기대도 매우 큰 상황이다. 그러나, IBM의 22년 분석에 따르면 최근까지도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률은 세계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우리 사회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이해나 적극적 활용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의 상업적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세계 각국의 인공지능 특허를 둘러싼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지고 ..

IT & Technology 2024.03.15

인공지능 AI 기반, 터줏대감 laaS와 NVIDIA

기반의 기반 생성형AI 가치 사슬에서 FM의 기반, 즉 “기반의 기반”이 되는 영역이 IaaS와 반도체다. IaaS 시장에서는 이미 아마존의 AWS, MS의 Azure, 구글의 GCP 등이 글로벌 경쟁을 하고 있다. AI IaaS 영역에서는 MS가 오픈AI와 함께 제대로 준비해 왔고, 구글은 자신들의 AI 연구와 함께 TPU를 직접 개발, 제작하며 AI IaaS 경쟁력을 확보해 왔다. 물론 AWS는 글로벌 No.1 IaaS 사업자의 위치에 맞게 투자를 지속해 왔지만, MS와 구글은 AI 중심으로 IaaS 시장이 변화되고 있음을 활용해 AWS의 입지를 흔들고자 공략 중이다. AI 반도체 영역에서 구글의 TPU와 경쟁을 하고 있지만, 단연코 독보적인 기업은 엔비디아NVIDIA이다. 반도체기업 NVIDIA 엔..

IT & Technology 2024.02.28

Google의 AI, LaMDA

Google의 AI, LaMDA 챗GPT가 많은 관심을 받으면서 그 누구보다 앞서서 AI 연구를 해 왔던 구글은 무엇을 하든 챗GPT와 비교되는 후발자처럼 인식되고 있다. 사실 챗GPT의 기반이 된 트랜스포머 모델도 2017년 구글 내부 조직인 구글 브레인이 만들었다. 그리고 구글은 언어 등 기능별 속성에 최적화된 다양한 AI들을 개발해 왔다. 하지만 검색광고라는 사업 모델과의 자기잠식 효과 때문에 출시를 많이 뒤척였던 것 같다. 구글은 챗GPT의 폭발적 확산 때문에 최고 비상사태를 의미하는 코드 레드를 발동 했었고 2023년 2월 6일 구글의 다양한 언어 모델 중 하나로 조금 가벼운 LaMDALanguage Model for Dialogue Applications기반의 대화형 챗봇 서비스인 바드BARD..

IT & Technology 2024.02.25

ChatGPT 와 우리 생활속 환경의 변화

보편화되는 AI, 그 한계를 극복해 가다 ChatGPT의 부정확하고 편향적인 답변, 잘못된 정보나 무의미한 응답을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오류는 반복적인 시행착오 상호작용을 통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며 ChatGPT는 이미 차별·혐오 발언을 차단하기 위해 AI 기반 조정 시스템인 ‘Moderation API’를 사용중에 있다. 즉, 허용되지 않는 내용의 질문이 나올 경우 ‘차별적· 공격적이거나 부적절한 질문, 여기에는 인종차별적, 성차별적, 동성애 혐오적, 성전환자 혐오적 또는 기타 차별적이거나 혐오스러운 질문이 포함됩니다’라고 답변하는 것이다. ChatGPT는 언어모델로서 추가적인 학습과 전문적인 검증 과정을 통해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GPT-4 출시로 초거대 AI 기술은 가속화 GPT-4는 ..

IT & Technology 2024.02.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