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의 공공성 참여
요즘은 인공지능의 공공성 참여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미국, EU 등 해외 주요국을 중심으로 '챗봇'부터 '의료분석 시스템'까지 일반행정, 의료 등의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공공서비스는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주요국은 초기에 반복적 행정업무 및 민원상담 서비스, 정보제공이나 통계분석 업무 등에 AI를 보조적 행정수단으로 활용하였으나 이제는 방대한 업무처리 경험을 바탕으로 AI를 활용한 정책이나 의사결정에 까지도 반영하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 각국에서 의료, 안전, 복지 등의 분야에 예측 및 추적, 결과 시물레이션 등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한 공공 행정서비스도 도입하였거나 도입중이 곳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AI를 활용한 펫관련 산업군이나 노인의료 분석시스템, 식중독 예방이나 칼로리 등의 개인건강과 관련한 분야, 사회복지결정 자동화서비스(스웨덴), 면접채용 로봇까지 이제는 전체 사회에서 AI의 활용과 서비스 확대는 시대적 필수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AI룰 활용한 공공서비스를 조금더 살펴보면 행정범위에서 중앙정부부터 지방정부, 일반 도시에 산재하고 있는 기업들까지도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AI 산업에 점차 더 가까워 지고 있고, 정책결정 부문에서는 공공서비스 목적의 활용외에도 기상과 재난, 안전, 교통운송이나 건설분야, 보건의료분야, 에너지환경분야 등 다양하게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가 현생활에 반영되고 있다.
최근의 일예로 AI가 예측하는 경제와 금융분야에 있어서는 다소 위험한 발상이기는 하지만 투자예측 프로그램 등으로 활용되어 이제는 돈이 움직이는 확률적인 부분까지도 AI의 도움을 받고 있다. 교육과 육아에 있어서도 초창기에는 부정적 여론이 더 많았다면 이제는 이를 적극 활용한 보다 진보적 형태의 학습이나 육아도구로 받아들였고, 농축수산 분야에 있어서도 조금더 개량화된 스마트화된 농장이나 어장, 축산 등급 등에 있어서도 적극 활용되고 있다.
얼마전 뉴스를 통해서도 접한 국방분야에 있어서도 이제는 일반 군인이나 인력 참여대신 인공지능을 활용한 최전방 휴전선 경계근무 등에 활용되고 있는 기사를 접하기도 했다.
Ai의 유형은 다양하다. 자동차 전장제품 안으로 AI 컴퓨터칲이 함께 탑재되어 자율주행이나 보조 수행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고, 오디오 프로세스나 사물인식 등에 있어서도 학습된 AI의 참여로 조금더 객관화된 데이터 기반의 사용자 중심기술로 인정 받아가고 있다.
하지만 반대로 그 한계점도 존재하는데 유능한 AI를 탄생시키기 위해서는 그만큼의양질의 데이터와 학습 시간이 소요된다. 물론 반도체의 발달로 학습에 소요되는 시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획기적인 시대를 살고 있지만, 국내에 한정된 데이터가 아닌, 다양한 글로벌 체계의 사용자 경험의 데이터들이 누적이 되어야 하고,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집과 분석으로 바탕으로 일반화를 시키는데에도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사례분석의 다양성을 확보해야하고, 사례 조사의 범위도 폭넓게 하여 분석후 누적시키는 데이터 확보가 가장 시급할 것이다. 시대적 흐름에 정부기관도 가세를 한 모양새다. 뉴스를 살펴보니, '정부 공공데이터 32개 영역, 57590개 '25년까지 단계별로 개방한다'라는 기사도 접한적이 있다. 방향성이 맞고, 해당 공공데이터가 분석이 끝나고 활용이 된다면, 공공서비스 영역은 더욱 확대되고 편의성을 발전할 것이다.
'IT & Tech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공공서비스 활용 해외사례 (영국) (1) | 2024.03.28 |
---|---|
AI 공공서비스 활용 해외사례 (캐나다) (0) | 2024.03.27 |
딥페이크(Deepfake) 설명과 악용사례에 대하여 (1) | 2024.03.16 |
인공지능에 대한 글로벌 특허 경쟁 (0) | 2024.03.15 |
뉴로모픽 컴퓨팅 기반의 초저전력 거대 언어모델 AI반도체 (0) | 2024.03.12 |